컴퓨터 구매 / 포맷 후 [ 윈도우 필수 프로그램 ]

예전에는 윈도우 설치 후 필수 프로그램으로 백신을 비롯해 설치할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기본 프로그램을 윈도우에서 제공하게 되면서 진짜 ‘필수’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종종 자동 설치가 안되는 드라이버 정도가 되었다.

이 외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설계면 캐드, 디자인이면 포토샵 등의 필수 프로그램이 있겠지만, 모든 상황을 고려하는 것은 다소 복잡하므로 대부분의 PC 이용자들의 주요 목적인 인터넷 사용 및 영상 시청, 문서 및 사무 작업 정도의 관점에서 윈도우 필수 프로그램을 알아보도록 하자.

드라이버

윈도우를 설치하면 기본적인 드라이버가 잡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특히 랜 / 와이파이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는 경우 아예 인터넷이 되지 않으므로 어떤 상황이던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필수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드라이버는 하드웨어 장치와 맞춰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완제품이라면 제조사 홈페이지, 조립 PC라면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 및 각 장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설치할 수 있다.

레노버 드라이버삼성 드라이버LG 드라이버
에이수스 드라이버에이서 드라이버MSI 드라이버
기가바이트 드라이버HP 드라이버델 드라이버
레이저 드라이버애즈락 드라이버바이오스타 드라이버

특히 Wi-fi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아 인터넷이 되지 않는 경우, 다른 컴퓨터로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해 제품에 맞는 Wi-fi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 받아 USB로 옮겨서 설치해줘야 한다.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 필수랜 / Wi-fi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연결했는데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 필수오디오 드라이버(사운드 카드) 또한 설치해야 한다.

또한 혹시 모를 오류를 대비해 강력히 권장하는 것이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 그리고 게임이나 그래픽 관련 툴을 쓰는 경우 강력히 권장하는 것이 그래픽 드라이버이다.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AMD 그래픽 드라이버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

완제품의 경우 해당 제품 페이지에서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으나, 조립식 PC등의 경우 내장 그래픽의 경우 인텔 또는 AMD, 외장 그래픽의 경우 AMD 또는 엔비디아에서 그래픽 드라이버를 검색해 다운받아 설치한다.

그 이외에 드라이버 설치 관련해서 3DP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이 프로그램은 필요하면 설치 정도로 권장하며, 3DP Net은 인터넷이 안될 때 관련 드라이버를 잡아주고, 3DP Chip은 PC의 장치를 인식해 자동으로 설치할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직접 해당 드라이버 제조사에서 받는 것을 추천하나, 제품명을 모르겠거나 찾는데 문제가 있는 경우에 필요하면 설치하자.

인터넷 브라우저

예전이라면 크롬을 강력히 권장했겠으나, 요즘은 사실 기본으로 깔려 있는 엣지를 써도 기능상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엣지를 써도 무방한데, 인터넷 주소창 검색시 기본 검색엔진이 ‘빙(Bing)’으로 되어 있으므로 필요하면 네이버나 구글로 바꿔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외에는 네이버의 웨일이 좀 쓰이는 편이고, 모질라의 파이어폭스도 소수가 쓰고 있다. 브라우저는 사실 취향껏 선택해도 무방하다. 나는 쓰던게 편해서 크롬 쓰고 있다.

웹 브라우저 보다 강력히 권장하는 것은 웹서핑을 쾌적하게 만들고 유튜브 광고를 제거하는 애드가드 또는 애드블럭 플러스이다. 둘 중에 하나만 설치해서 사용하면 된다.

크롬 애드가드엣지 애드가드파이어폭스 애드가드
크롬 애드블럭 플러스엣지 애드블럭 플러스파이어폭스 애드블럭 플러스

네이버 웨일의 경우 자체 스토어에는 위의 광고차단 애드온이 없고, 확장앱의 호환 스토어를 누르면 뜨는 크롬 확장 스토어에서 광고 차단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메신저

메신저는 필요하면 설치하면 되는데 사람에 따라 필수적일 수 있겠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PC 음성 채팅의 대세 디스코드를 필요에 따라 설치해서 사용하자. 둘 다 쓰는 경우도 흔하다.

문서 / 사무용 프로그램

사무용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한글 / 엑셀 / 파워포인트(PPT)는 유료 프로그램이다. 물론 요즘은 대체할만한 무료 프로그램이나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가 있으나, 문제는 사무 작업은 혼자 하는게 아니라 다른 업체나 기관과 파일이 오가는 작업이며, 호환성을 위해서 거의 필수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글 문서 작업을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은 한글로, 한컴오피스 제품 패키지에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정리등을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인 엑셀,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파워포인트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제품 패키지로 판매된다.

이 외에 PDF 파일을 열 수 있는 아크로벳 리더도 있으나, 요즘은 브라우저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면 설치하자.

압축 프로그램

대표적인 압축 포멧인 ZIP의 경우 윈도우에서 압축해제를 기본 지원한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압축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만 다른 사람이 공유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 용량에 따라 ZIP 이외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경우가 꽤나 빈번한데, 이 때 필요하면 설치하는 것으로 추천하는 프로그램은 반디집이다. 예전에는 알집이 대세였으나 광고 및 속도 차이 및 라이센스 차이 등으로 반디집이 더 많이 쓰이는 추세다.

미디어 플레이어

요즘은 스트리밍 서비스가 너무 발달해서 동영상을 받아 보는 일이 드물어졌다. 따라서 필요하면 설치하면 되는데 추천되는 프로그램은 다음 팟플레이어이다. 예전엔 곰플레이어가 대세였는데 광고가 붙으면서 밀리고, 팟플 아니면 VLC 정도 쓰는게 주류로 보인다.

그 외 윈도우 필수 프로그램?

게이머라면 스팀, 이미지 뷰어는 꿀뷰… 였는데 반디뷰로 대체되었고, 백신은 윈도우 디펜더가 충분히 강력해져서 따로 설치하지 않는 추세다. 이 외에 추가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필수적이라기 보단 편의성을 위한 것 또는 다른 작업을 위한 것으로 보면 되겠다.

컴퓨터로 웹서핑 정도만 하고 유튜브 보고 게임이나 한다면, 드라이버 설치 후 윈도우 업데이트 한 뒤 애드가드 키고 할 게임 설치하고 나면 끝이다.

그 외에 필수라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댓글로 제보 바랍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